이름(익명)
날짜
질문
답변
2025/06/22 11:40
다들 어학성적이 어떻게 되시나요? 토익스피킹으로 준비했는데 예전에 레벨7 2번 땄는데 이번에는 6까지 밖에 안나오더라구요 ㅜㅜ 더하기에는 돈도 시간도 아깝고 해서 일단은 6에서 멈췄어요..
토스 , 오픽 → 암기 잘 하면 전자, 프리토킹 ㄱㅊ 으면 오픽
2025/06/22 11:39
다들 평소 루틴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요! 공부도 하고싶고 지원서도 내고싶고 운동도 하고싶고 한데.. 다 하기가 쉽지않네요 게을러서 ㅠㅠ ㅎㅎㅎ ..
1. 오전 7시 기상 → 산책 → 영어 스피킹 공부 → 식사 → 자격증 or 지원서 작성 선택 → 오후 6시 이후 자유시간 → 오후 11~12시간에 취침
2. 오전 8시 기상 → 전화영어 → 신문스크랩 → 운동 → 오픽
3. 7시 50분 뒹굴 → 8시 기상인증 → 8시 10분 타임랩스(1시간 신문스크랩) → 10시 공고 확인 → 점심 → 파이썬 공부 / 알고리즘 문제 풀기 → 6~7시 이후에는 휴식
4. 오전 8시에 기상해서 아침먹고 잠깐 산책 + 영어 스피킹 공부 + 공고 확인하고 점심먹고 밤까지 자기소개서 쓰거나 아님 운동, 신문스크랩하며 보내고 있습니다~
1. 단기적, 장기적 목표 설정
2. 인생 로드맵(5~10년)
1. 25
2. 26
3. 27
4. 28
5. 29
6. 30
7. 31
3. 비시즌 → 직무 관련 자격증 / 어학성적 / 직무 관련 교육 / 이 직무 관련 역량 키우기 위한 스터디 / 자소서 싹 갈아엎기(2개월) / 현직자 인터뷰(3~5명)
4. 배우고 아웃풋하고 배우고 아웃풋
2025/05/19 09:31
자소서 첨삭 받아보면 첨삭해주시는 분들이 다 괜찮다고 하시는데 계속 서류에서 탈락합니다. 이력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느끼는데 이력은 과거의 일이니 바꿀 수 없으니 어떤 부분을 더 추가해야 할까요?
1. 전공, 직무관련 프로젝트 경험(1가지)
2025/05/19 05:02
10,000자 이내로만 작성해서 제출하는 자유형식 자기소개서는 글의 구조를 어떻게 짜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각 질문당 500자, 800자로 맞춰서 작성하는 자기소개서는 써봤지만, 자유형식은 어떤 구조로, 글자수는 어느정도로 쓰는 게 좋은지 궁금합니다
[결론]
내가 이 직무를 왜 선택했고, 그래서 어떠한 노력을 해왔고, 이러한 노력들을 어떤 회사에서 발휘하고 싶으며, 들어와서 뭐하고 싶은가?
[성장과정]
1. 나는 000한 사람이다. (그 팀에서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지?)
2. 이 직무에 관심갖게 된 계기
3. 이후에 직무 역량을 쌓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했는지? (시간 순서 흐름)
4. 필살기
5. 필살기
[회사 지원동기 및 입사 후 포부]
1. 이러한 역량을 쌓아왔고, 어떤 기업에서 근무하고 싶은가?
2. 내 기준이 이 기업에 부합한 이유
3. 들어와서 뭐하고 싶은가?
2025/05/19 03:42
1년 휴학을 하신 분들 면접에서 질문오면 뭐라고 이야기 하시나요? 자격증, 인턴 경험을 하지 않아 그럴듯한 경험이 없어 걱정입니다!
1년 동안 진행한 공부, 경험 우선 정리해보기 → 앞으로의 계획, 직무에 적용할 방안 제시하기
2025/05/19 03:39
자기소개서 관련 질문입니다.
경험한 활동 중, 가장 성과가 분명하고 깊이있던 활동이 하나이고(어떤 문항으로도 소재가 나오는), 나머지 활동들은 상대적으로 소재의 재미가 부족하다고 느껴집니다.
글자수 제한으로 모든 내용을 담기는 어려운데, 가장 좋았던 활동의 여러 내용을 알차게 담는 것이 좋을지 vs 다양한 활동을 쓰는 게 좋을지 추천해주세요!
자소서 문항의 의도와 적합한가? → 이 문항의 의도에 맞게 얼마나 잘 뽑아낼 수 있는가? (Ex. 도전 경험 → 그 도전을 왜 했는가? 그 도전이 얼마나 수준 높은 도전이었는가?)
2025/05/19 02:34
구직 활동이 길어질수록 심적으로 너무 지치는데 어떻게 극복하면 좋을까요?
1. 모교에 가보기 2. 멀리 바람쐬러 다녀오기 3. 하루는 푹 쉬고 친구들과 놀기 4. 운동장 달리기
2025/05/13 06:33
면접 전 마인드컨트롤 꿀팁 같은게 있을까요? 면접 전에 잘해야한다는 생각에 항상 긴장을 너무 해서 모의면접때보다 실력 발휘를 못하고 나옵니다.. 면접관들을 그냥 옆집 이웃이다 라고 생각하고 들어가라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이게 잘 안되더라구요 ㅋㅋㅋ ㅠㅠ
1. 다른 지원자분들과 스몰토크하며 긴장풀기 2. 임원사진 출력해서 미리 자주 보기 3. 마인드셋 : 합격시키려고 부른거다, 대화하러 간다고 생각하기
2025/05/06 12:01
작년 1차면접에서 탈락을 한 곳인데 올해 다시 지원해보려 합니다. 탈락한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는지 무조건 물어볼 것 같은데 어떤 식으로 답변하는게 좋을까요? 제가 생각하는 작년 탈락 이유는 .. 면접때 긴장을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이 한 탓에 준비한 만큼 다 못보여주고 나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건 너무 식상하고 형식적인 답변인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ㅠ(왜 탈락했는지 -> 1년동안 그걸 보완했다라고 느낌으로 말하고 싶은데 긴장을 너무 많이 한 것 같다는 건 소재도 좀 별로이지 않나 싶어요 ㅠㅠ 면접때 긴장은 누구나 하니까요)
이 직무를 잘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잘 설명드린 것 같지만, 이외의 인성관련한 경험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를 하지 못했던 점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상황 설명이 장황해지고, 이 덕분에 면접관님들에게 핵심을 전달하지 못했던 것이 크다. + 이 노력을 어떻게 했는지? / (꼬리질문) 이전에 지원했을 때보다 뭐가 달라졌는가?
2025/05/06 04:59
2024년부터 취준을 시작하면서 공백기가 1년이 넘어가는 상황인 취준생입니다.! 1년동안 정말 쉬지않고 지원하고, 많은 최종 탈락을 겪어서 정신이 없었는데요..ㅠ! 면접에서 '공백기' 질문이 들어오면, 정말 솔직하게 "1년간 취업 준비를 열심히 했는데 잘 되지 않았다"라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 괜찮을까요?
+ 또한, 취업 공백기는 보통 어느 기간까지 평균적으로 괜찮은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
[공백기]
1년간 공백기가 나에게 어떤 의미였는지(긍정), 그리고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어떤 역량이 향상되었는지? (현업에서 사용하는 실무 용어, 지식), 갖고 있는 경험들을 하나하나씩 분해해보며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엇을 기여할 수 있는지 고민하였음.
2025/04/22 11:56
회사 지원 시 포트폴리오도 늘 함께 제출하는데, 포트폴리오가 합불에 큰 영향을 주는지도 궁금합니다
‘필수’인 곳은 큰 영향을 줍니다.
2025/04/22 09:15
- (면접)'1분 자기소개'에서 대표적인 프로젝트와 성과를 2가지 정도 말해주는 것이 좋을지, 태도적인 부분을 가볍게 언급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 (면접) 모든 답변을 두괄식으로 말하는 것이 좋을지, 꼭 그런 형식으로 모든 질문에 답변할 필요는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1) 둘 다 가능합니다. 둘 다 섞을 것 같습니다. 2) 꼭 그런 형식으로 답변할 필요는 없어요. (의식하다보면 그냥 그렇게 말하고 있어요)
2025/04/22 07:49
최근 자소서 합격률이 기대보다 낮아 고민입니다.
이런 경우, 자소서에서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점검하거나 수정하는 게 좋을까요?
문항별로 제 경험이 잘 매칭되고 있는지 스스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노력이나 방법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정량적인 부분을 건드리지 않고, TO도 신경쓰지 않고 자소서의 합격률을 높이는 방법 → 1) 어필하고 있는 역량을 정의해본 적이 있는가? 2) 내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입사 후 포부 → 얼마나 구체적인가?) 3) 소제목(구체적인 액션 + 구체적인 성과) 4) 경험의 질(편의점 재고관리, 계약직 제조공장에서 생산직이랑 협업해서 재고관리)
2025/04/22 06:46
면접 스터디 피드백을 스터디운영방법에 나와있는 걸 참고해서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피드백 항목을 모두 잘 적용한 답변 = 잘 대답한 답변 일까요? 항목을 모두 잘 반영했다면 충분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NO
2025/04/21 13:44
면접 도중 질문에 대한 답변이 떠오르지 않을 때 대처 방법이 궁금합니다!
1. 생각할 시간 달라하기(한 번의 면접에서 3번 이상 요청하면 그건 망한 면접) 2. [직무 관련 지식] 모르면 답변 못함. 아는 것까지만 말하고 부족함 인정 3. [인성질문] 어떡해서든 생각해야 함. (면접 경험을 많이 쌓아서 그 정적을 즐기는 수준까지 오면)